Page 7 - 대한사랑_4월호
P. 7
2025. 4
2025. 4
때문이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건국 원리를 이 접목시킨 고종의 ‘구본신참론’에 입각한 광무
룬 것은 오래 전에 준비된 4가지 정치사상이 개혁의 성과였다. 고종은 2236개소 국공립·사
었다. ⑴병자호란 이후 발전되어 온 ‘조선중화 립 신식 학교, 각종 국립기술학교, 육군무관학
론’, ⑵동학 경전에서 처음 표현된, 왕권을 회 교와 육군 유소년학교, 여러 국군훈련소 등을
복하여 국왕을 중심으로 근대화 개혁을 하려 통해 ‘광무세대’ 국민을 육성했다. (이후의 ‘일제세
는 ‘신(新)존왕주의’, ⑶영·정조 이래 나라를 ‘임 대’와 비교되는 ‘광무세대’ 지식인들은 거의 다 독립운동에
금(양반)의 나라’가 아니라 ‘백성의 나라’로 여기 나섰다.)
는 ‘민국(民國)사상’, ⑷친일 개화사상을 제치고 그리고 대한제국에서 정부의 식산 흥업 정
옛것을 바탕으로 새것을 한국화해서 받아들이 책에 따라 근대적 시장제도가 도입되고 근대
는 고종의 ‘구본신참론(舊本新參論)’이 그것이다. 적 농·축산업, 상·공업, 근대기업이 진흥되었다.
이 4대 건국이념은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청 13도 행정 체제, 서울의 근대도시계획, 교통·통
하던 유생들의 빗발친 상소문과 고종의 유시 신·위생·보건 체계 등도 그때 확립되었다. 주미
에 반복적으로 표명되었다. 이에 따라 1897년 한국공사관에 근무했던 한성판윤 이채연(李采
10월 12일 창건된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 淵)은 1896년 말부터 워싱턴 D.C.를 참조해 서
일까지 만 12년 11개월 17일 동안 존속한 사 울을 근대도시로 개조했다. 서울에 전기·전화·
상초유의 ‘제국’이었다. 대한제국은 짧게 존립 가로등·전신망·전차·한강철교 등을 일본보다
했으나, 엄청난 업적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엄 먼저 또는 동시에 부설하고 경인선 철도를 개
청난’ 업적은 대한제국에 대한 무지로 인해 무 통했다.
시되거나 일제의 업적으로 오인되어왔다. 서울 도시계획이 막 시작된 1897년 비숍(I.
Bishop) 여사는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1897)
에서 이렇게 썼다. “더러운 서울은 극동에서 가
대한제국은 어떤 나라였는가? 장 깨끗한 도시로 바뀌는 중이다. 이 비상한 변
화는 4개월 만에 이뤄졌다.” 1896년 3월부터
경제대국으로서의 대한제국 1904년 1월까지 이어진 광무개혁은 7년 10개
대한제국은 ‘근대’ 개념의 전측면적 의미에 월로 짧았으나, 한국에 경제 사회적 대도약을
서 한국사 최초의 ‘근대국가’였다. 1900년대 가져온 것이다.
대한제국은 창건 7-8년 만에 이미 아시아 2위 1901년 독일기자 겐테(S. Genthe) 박사는 “북
의 경제 대국으로 올라서고 있었다. 이것은 조 경도, 동경도, 방콕도, 상해도 서울처럼 전신
선의 ‘초기 근대’ 전통에 서구의 ‘높은 근대’를 과 전화, 전차와 전기조명을 동시에 가진 것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