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대한사랑_4월호
P. 12

것을 약속하며 러시아군의 국내 진공을 수차                      은 합세하여 ‘국민군’을 이루고 전국적으로 ‘국

            촉구했다. 그러나 35만 명의 러시아군은 어리                    민전쟁’을 벌였다. 1904년 2월 6일 왜군의 재
            석게도 국내 진공을 포기했고, 만주와 연해주                     침 이래 3여 년간 계속 해산당한 3만 ‘국군’의

            로 양분되어 패전하고 말았다.                             상당수가 도처에서 ‘민군’과 결합하여 신식전

              고종은 러군이 국내진공을 거부하고 패전하                     력을 갖춘 ‘국군+민군’으로서의 ‘국민군’이 탄
            자 ‘중립’ 명령으로 종전(終戰)까지 국군의 전력                  생한 것이다. 이 국민군으로 “원수부 13도 창

            (戰力)을 보존하고 있다가 결전을 치를 계획으                    의대진(倡義隊陣)”이 결성되었다. 1910년까지 의
            로 차근차근 ‘국민전쟁’을 준비했다. 1905년                   병장 430명 가운데 국군 출신 의병장은 무려

            11월 17일 을사늑약을 기점으로 고종은 전국                    27%(115명)에 달했다.

            에 거의(擧義)밀지를 발령하여 ‘국민전쟁’에 돌                    ‘국민군’의 전투력은 왜군을 능가했고, 국민
            입했다. 고종의 거의밀지에 따라 1906년 말부                   군은 전투마다 연전연승했다. <대한매일신보

            터 430명의 의병장이 전국적으로 거의(擧義)했                   > 1907년 8월 30일자 기사를 보면, “강원일도
            다. 동시에 고종은 1906년 12월 1일 <대한매                 와 충북에는 의병이 없는 읍(邑)이 없고 (...) 혹

            일신보>를 통해 ‘을사늑약 무효’를 선언했다.                    고봉(高峯), 일심곡(一深谷)과 혹 안변(岸邊)으로 각

              이에 일제는 1907년 6월의 헤이그 밀사 사                  처 파수하는데 일병(日兵)이 감히 들어가지 못하
            건을 빌미로 7월 19일 고종을 폐위시켰다. 그                   고”, “일병을 살해한 수효가 1000명 이상이오,

            리고 8월 1일 중앙과 지방의 잔존 7000여 명                  연사포 2문과 기관포 6문과 양총 1200-1300

            의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했다. 그러나 이것은                     정과 군마 48두와 탄환 9태를 다수히 탈취했
            ‘국민전쟁’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군대                    고, (...) 일병은 (...) 세가 대적할 수 없다”고 보도

            해산 당일 서울의 시위대(侍衛隊)는 무장봉기를                    하고 있다. 이는 검열로 인한 ‘축소보도’다. 모

            일으켰다. 제1연대 1대대장 박승환 참령이 1일                   든 수치는 두세 곱절로 부풀려 읽어야 한다.
            아침 군대해산에 항의해 자결하자 1연대 1대대                     이강년·허위·이인영 등 전국 각지의 애국적

            와 2연대 1대대가 1일 8시경 봉기하여 3일간                   인물에게 무수히 내려진 고종의 밀지에 따라
            의 시가전을 벌였다. 그러나 시위대는 실탄 고                    1907년 11월 26-27일 결성된 ‘대한독립의군

            갈로 분패하고 말았다.(전사 68명, 부상 100명, 포로             (大韓獨立義軍, 고종이 하사한 원래의 명칭), 즉 ‘원수부

            516명, 탈출 400명) 원주·강화 진위대도 서울 무장              13도 창의대진’은 서울을 제외한 전 지역을 ‘해
            봉기 소식을 듣고 봉기해서 국민전쟁의 일익이                     방구’로 탈환했다. <대한매일신보>의 1908년

            되었다.                                         5월 6일자 기사는 “일본인은 일보라도 내지에
              해산 ‘국군’과 산포수를 비롯한 의병 ‘민군’                  들지 못하며”, “고양·양주 산중에 의병이 기천



            12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