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한국사 2번문제에 심각한 오류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끝났다. 매년 한국사문제를 들여다보고 있다. 올해 한국사 문제도 역시문제가 많이 있다. 그중에 확연히 틀린 문제를 하나 먼저 보겠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문제 중에서 2번문제에 심각한 오류와 문제가 있다. 문학작품으로 본 한국사를 인용하면서 철주 지역을 설명하는 글에 "지금의 평안북도 철산군 일대이다. 강동 6주 중의 한곳으로 서북면 방어의 요충지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평안북도 철산군 일대를 강동 6주의 일부라고 한 것이 문제다 그런데 최근의 학문적인 결과에서는 지금의 <강동 6주의 위치 비정>이 잘못되었음을 분명하게 학문적으로,문헌적으로,고고학적으로,군사학적으로 종합적으로 밝히고 있다. 고려의 동서 국경 비정을 지적하는 논문이 지속적으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서쪽 국경 경계를 정하는 강동 6주를 '기존의 주장'을 답습하여 문제에 실어 심각한 오류를 야기하고 있다. 국사교과서에서 말하는 강동6주는 흥화진(의주), 곽주(곽산), 귀주(귀성), 통주(선주), 용주(용천), 철주(철산)는 이렇게 비정하고 있지만 이는 일본 제국주의 식민사학자 쓰다소치키와 관변학자들의 비정을 무작정 따른 결과에 불과하다. 이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문제에 실은 것은 고려의 국경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연구 결과를 전혀 존중하지 않은 결과다. 고려 국경 문제만큼 과거 국경선이 잘못되었다는 것 만큼 확실한 주장이 없다. 이제는 고려 국경을 새로운 국경 비정으로 바꾸어야 일제 식민사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런 부분에서 이번 문제는 문제 자체가 잘못되었음을 인정해야 할것이다. 일제관변학자 쓰다 소키치의 주장에 기반하여 광복 7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고려의 북계가 압록강과 청천강 사이에 실제론 존재하지 않는 천리장성을 따라 국경이 형성되어 현재 우리나라 초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고려 지도가 그려졌다. 한국은 물론 중국의 사료가 말하는 고려 북방 강역은 심양 남쪽의 철령부터 두만강 북쪽 700리의 공험진까지였다. 한국과 중국의 모든 사료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윤한택 연구교수는 '고려 서북 국경에 대하여 - 요·금 시기의 압록(鴨淥)과 압록(鴨綠) 중심으로'라는 글에서 고려시대 압록강(鴨淥江)이 현재의 요하(遼河)였으며 여기가 고려의 서북계라고 주장했다. 고려의 서북 국경이 현 압록강이 아닌, 랴오허(遼河)의 압록강이라는 것이다.
두 개의 압록강을 따져봤던 유득공의 <발해고> 유득공은 <발해고>에서 고려시대 “봉황성 이서에 압록강(鴨淥江)이 또 있다는 것인가?(豈鳳凰城以西復有一鴨綠江?)”라고 의아해했다
선춘령, 고려의 동북쪽 국경 “두만강 밖 7백리 선춘령에 ‘이곳에 이르러 고려의 국경을 삼는다”는 7자의 글자를 새긴 윤관의 비가 있다“ [고려사 지리지] “공험진이 두만강 북쪽 7백리 선춘령이 두만강 동북 7백리” [세종실록지리지] 옛 사서에는 “ 두 장군이 선춘령에 비를 세우고 ‘至此爲高麗之境 이곳이 고려의 경계이다’라고 하였다. 선춘령은 두만강에서 700여리 밖의 송화강 근처 땅에 있다”라고 하였다. [태백일사 고려국본기]
박찬화 기자 multikorean@hanmail.net <저작권자 © 한韓문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