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 행사소식
[공지사항] 2024년 대한학술문화제 공모논문 선정 심사 결과
- Download
- 대한사랑_학술논문_작성_요령.pdf(60.8 KB) 2024-02-0137
- 홍길동_한국사역사왜곡(논문제목).hwp(1.0 MB) 2024-02-0135
- Link
- http:// https://forms.gle/13hePGfrxEKmKaEr5 74
- http:// https://forms.gle/EbvkVFbBJrEL3tCPA 68
2024년 대한학술문화제 공모논문에 응모해주신 연구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제출해주신 연구계획서는 논문 형식, 대한사랑의 역사관 부합, 역사 광복에의 기여도 등의 심사지표를 가지고 총 8명의 심사위원단이 심사, 운영위원회의 결의를 하였습니다.
총 35편의 논문을 연구비 지원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여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건강한 역사관 함양에 뜻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의사항#
1. 투고논문플을 다운받은 후 파일 안에 논문 작성, 글자크기 및 각주스타일 변경 불가
2. 연구자 동의서 및 자격증명(교수, 박사)탑재는 2월 28일까지 구글폼으로 제출
연구자동의서 https://forms.gle/13hePGfrxEKmKaEr5
3. 완성논문 및 발표 ppt 제출기한 : 5월 31일
논문제출 https://forms.gle/EbvkVFbBJrEL3tCPA
공모주제별 통과논문
1. 전통사학 (12편)
① 윤*택, 한국 국경사에서 한백겸 『동국지리지』의 위치
② 허*범, 압록강 연구를 위한 시론적 고찰
③ 남*성, 백제 관미성(關彌城) 위치 재고찰
④ 신*식, 거란이 고려 침공하는 배경과 강동 6주
⑤ 김*, 李氏朝鮮 官撰 地理書로 보는 韓國 歷史地理認識의 起源 - 新增東國輿地勝覽을 중심으로
⑥ 이*영, 애류(崖溜) 권덕규(權悳奎)의 한국 고대사 인식
⑦ 최*호, 조선 중기 미수 허목의 전통 사관의 의의와 한계 - 東事를 중심으로 -
⑧ 계*숙, 마한 강역에 대한 새로운 고찰
⑨ 박*환, 통일신라의 강역 추정에 대한 재검토 -9주 5소경 위치 비정에 대한 평가 중심으로-
⑩ 김*섭, 발해 상경성(上京城) 위치에 관한 재고(再考)
⑪ 전*원, 조선 중기 藥泉 南九萬의 三韓 강역 인식
⑫ 정*상, 정약용의 강역 및 일본 관련 인식에 대한 비판
2. 역사왜곡 (8편)
① 나*채, 역사왜곡 대응에 관한 하나의 경험적 연구 –<전라도 千年史> 역사서 폐기운동을 중심으로
② 민*욱, 말갈문화와 한국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③ 정*선, 고려 압록강, 고려 의주, 흥화진, 위원진, 정주(精州), 영덕, 영삭, 정융의 위치 및 고구려 수도 국내성
위치 고찰
④ 송*진, 배달국 통치자 환웅의 실존에 대한 시론 - 홍산문화 유적유물을 중심으로-
⑤ 신*우, 고구려현 실체에 의한 동북공정의 허상(虛像) 규명 -고구려 건국 연도 재정립과 한사군의 위치를
중심으로-
⑥ 오*흥, 일본의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는 허구적(虛構的) 이론이다
⑦ 조*현, 「중국국치지도」에 나타난 한민족의 강역과 역사 왜곡이 동북공정에 미친 영향 분석
⑧ 길*숙 요동은 한국사에서 어떤 의미인가?
3. 환단고기(8편)
① 안*우, 백제는 서기전 31년 요서에서 건국되었다.
② 윤*렬, 대진국 연호를 통해서 본 환단고기 진서고
③ 이*구, 정전제의 연원에 대한 새로운 고찰-맹자의 정전론과 부루단군의 구정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④ 문*석, 천부경」에서 개벽開闢의 우주론적 의미
⑤ 양*학, 무한無限으로 읽는 『천부경』 - 철학과 수학의 이중주
⑥ 이*영, 牧隱 李穡의 韓國 古代史 認識
⑦ 윤*현, 연개소문의 정변과정을 통해서 고구려 관직 중 하나로 알려진 조의·선인의 정체를 밝히고자 한다.
⑧ 이*우, 환단고기와 기타 문헌에 나타난 고조선 역사의 공통적인 내용 비교분석 연구
4. 정신문화(7편)
① 이*종, 승유지기(乘遊至氣): 시원의 철학적 동역학을 찾아서
② 강*명, 환단고기의 삼일신고와 인도 싯다 수행법의 비교 고찰
③ 원*근, 『환단고기』의 진선미-동아시아 철학의 진선미와 연관하여-
④ 유*, 천부경의 논리적 구조와 인간학적 함
⑤ 김*상, 한국 근대사의 문을 연 세계변혁의 신
⑥ 박*식, 한국 선사미술 속의 조화지향성 -맞짝이룸(對偶組合)이 구현된 사례를 중심으로-
⑦ 이*희, 한민족사에서의 최고신 관념에 대하여

태양 2024-05-07 추천 0 비추 0
재심 요청서정신문화분과(천부경분과) 신청자
김유희 교수
상기 본인은 2024 대한국제학술문화제 논문 응모 지원(천부경 분과에 연구 논문을 지원)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금일(5/7) 전화 통화로 확인한 결과 연구계획서가 탈락되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상기 본인은 29년 동안 천부경에 관한 연구를 하였습니다. 세계 150여 개 국에 영어·중국어 천부경과 영어 삼일신고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세계 최초로 “박제상본 천부경”을 해석하였고(2022년 대한국제학술문화제 논문 발표), 2023년에는 대한국제학술문화제에 “천부경의 이념과 사상”이란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2차례에 걸쳐 ‘천부경 석비’를 찾으로 중국을 다녀왔으며, 이번 “白頭山本 天符經과 太白逸史本 天符經의 解釋에 대한 比較 硏究”을 주제로 논문을 준비하였습니다. 이제 다 완성하여 전화로 물으니, 탈락하였다는 것입니다.
주최기관에 질의합니다. 연구계획서는 그저 계획일 뿐이며, 그 논문의 완성도와 그 가치에 따라 탈락 여부를 심의하고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본인의 천부경 연구계획서을 심의한 심사위위원을 알려주시고, 재심요청을 정식으로 신청합니다.
요청하시면, 기꺼이 현재 완성된 논문을 보내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수정된 연구계획서도 함께 첨부하오니 꼭 재심절차를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 5. 7.
경영학박사 김유희(전 경기대)드림
010-633-1872